[뉴스초점] 폭염 끝 다시 장맛비 시작…"좁은 지역에 강한 호우"<br /><br /><br />정체전선이 북상하면서 수도권과 충남을 중심으로 전국에 많은 비가 내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주 비 피해도 아직 복구되지 않은 상태라 우려가 더 큰데요. 신경 써야 할 점들은 뭔지, 함은구 한국열린사이버대 소방방재안전학과 교수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내일까지 전국에 많은 비가 올 것으로 예상됩니다. 특히 비구름대가 정체할 것으로 보이는 경기 북부에는 시간당 70mm 안팎의 극한 호우가 내릴 가능성이 있는데요. 이 정도의 폭우가 한 지역에 집중되면 침수 가능성이 얼마나 늘어난다고 볼 수 있습니까?<br /><br /> 문제는 지난주 폭우 피해를 컸던 충청 이남에도 120mm에 달하는 많은 비가 예상되고 있다는 점인데요. 도로와 제방은 임시 복구를 해 놨지만 응급 복구율이 60%가 채 되지 않는 상황인데요. 아직 손도 못 댄 곳도 있는데 지금 상황에서는 어떻게 움직여야 합니까?<br /><br /> 오송 지하차도 침수 참사로 지하차도 지나실 때 좀더 조심해야 겠구나 하는 생각이 드실텐데요. 감속 운전과 안전거리 확보는 기본일테고, 이외에도 빗길 운전에서 조심해야 할 부분 짚어주신다면요?<br /><br /> 소방청은 어젯밤 11시부터 중앙긴급구조통제단을 가동했습니다. 3만 리터급 대용량포 방사시스템을 울산에서 수도권으로 가져왔다고 하는데요. 원래는 화재진압용이지만 오송 지하차도 배수 작업에도 쓰였던 장비죠?<br /><br /> 이번 비는 짧은 시간에 강하게 쏟아질 것으로 예상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. 예천 산사태 피해 지역에서는 오늘도 실종자를 찾는 작업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이렇게 다시 비가 올 경우 산사태 위험 가능성은 높아질 수 밖에 없을 듯 합니다. 특히 산사태가 한번 났던 곳은 더 조심해야 하지 않을까요?<br /><br /> 산사태 우려 지역 거주자들은 도심지와 달리 인구 밀도가 적고 노령층 비율이 높은데요. 이 정도 비는 괜찮겠지 하면 정말 위험하다고 하죠. 대피하러 가다가도 다시 위험지역으로 가는 분들도 있다고 해요. 인명피해가 없으려면 당국에서도 이런 부분을 잘 챙겨야 할텐데요?<br /><br /> 지난주 폭우로 인한 사망과 실종자가 현재까지 50명입니다.<br />매뉴얼이나 안전장치 부재 등 여러 가지를 확인했는데요. 지난주 지하차도 사고는 홍수경보를 발령했지만, 현장에서 통제와 대피가 이뤄지지 않은 점이 가장 아픈 대목입니다. 재난 위기에 잘 대응하기 위해서는 어떤 제도 개선이 우선이라고 보세요?<br /><br /> 재난 문자와 관련해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 나옵니다. 문자가 이미 늦었거나, 내용이 부실하고 또 비슷한 내용이 반복돼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건데요. 서울시는 재난 문자에 육하원칙을 담겠다고도 했습니다. 실제 재난 우려 상황에서 도움이 되려면 어떤 식으로 내용을 구성해야 할까요?<br /><br /> 정치권에서는 수해 방지 법안 마련에 팔을 걷어붙였습니다. 도시하천 유역 침수 피해 방지 계획을 10년마다 환경부가 세우도록 하는 법안과 지하 주차장 등에 침수 방지 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한 법안, 당국의 재난관리 책임을 강화하는 법률 등을 살펴보고 있는데요. 가장 시급하게 이뤄져야 하는 부분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